강제청산은 무엇인가?
보증금은 포지션을 유지함에 생기는 위험에 관한 중요 지표입니다.보증금이 부족 시, 사용자의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될 수 있습니다.
강제청산 메커니즘
U본위 유지계약의 강제청산 시스템은 표시가격에 준합니다.해당 보증금이 부족 시,강제청산 메커니즘이 촉발되고,바로 강제청산 프로세스로 진입하게 됩니다.
강제청산 방지 메커니즘
시장 조종/통제 행위,강제청산으로 인한 사용자의 손실 등을 피하기 위하여, 플랫폼은 플랫폼의 가격이 아닌,현물지수가격 연계하는 방식으로 기준을 세웁니다.
예: 현재 플랫폼에 BTC/USDT가격이 4000이고 현물지수가격이 4050일 경우,사용자는 포지션을 오픈할 때플랫폼 가격에 의해 체결이 되어지지만,사용자의 손익은 현물지수가격 (4050)에 의해 계산이 진행됩니다.
어떤 시점에,특정요인으로 인해 플랫폼 가격이 3700으로 변동하였고 현물지수가격이 여전히 4050일 경우, 포지션 손익은 4050에 근거하여 계산되며 플랫폼 가격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단,이때 사용자가 포지션을 청산하기로 결정하면,체결과정에서 플랫폼의 상대가격에 체결되기 때문에,사용자의 체결가격은 3700이 됩니다.
보험기금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이 강제청산 가격에 닿으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해당 포지션을 인수하며 시장의 최적가격으로 자동 위탁을 진행합니다.보험기금은 시스템 강제청산으로 인수된 후 거래 가격이 파산 가격보다 더 큰 이익을 내는 데서 나옵니다.ADL이 가동된 후 수익 있는 사용자가 오히려 손실을 볼 경우,보험기금은 해당 손실 부분을 보상해 주는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자동청산 (Auto Deleveraging)
리스크와 수익 상황에 따라 랭킹되며,사용자의 포지션이 비정상적 시장가격에 의해 청산이 이루어질 경우, 자동청산 메커니즘은 리스크가 높고 수익이 높은 사용자의 포시젼을 우선적으로 청산합니다.
수익성 포지션: rank= (지수가격-포지션 시작 평균값)/포지션 시작 평균값*지수가격/abs(지수가격-파산가격)
손실성 포지션: rank= (지수가격-포지션 시작 평균값)/포지션 시작 평균값/지수가격*abs(지수가격-파산가격)
댓글
댓글 0개
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